오랫만에 블로그에 접속했다.

시간은 정말 빠른 것임을 다시 한번 절감한다.

예전에 썼던 글들을 쭉쭉 읽어보면서

책상서랍 속 등과 같은 곳에서 잠들어있다가 우연 또는 기적에 의해 주인에게 다시금 꺼내어져 세상의 빛을 볼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을지도 모르는 이땅의 200lx들을 생각해봤다. 이들 중 다수는 다시 서랍 또는 보관 상자안의 칠흙같은 어둠 속으로 되돌아가야할 운명일 것이다. 어떤 주인들은 이렇게 다시 찾아낸 200lx를 '이거 도스(DOS)로 돌아가는 XT 컴퓨터야. 옛날 도스게임도 돌아간다~ 신기하지?' 라는 말과 함께 친구나 조카에게 주거나, 아니면 도스(DOS)가 생소하거나 잘모르는 이들일 경우 헐값에 중고시장에 내어놓거나 심지어 폐품쓰레기장에 버리는 것은 아닐까? 나는 이런 비극적 운명의 200lx를 한대라도 막아보고자하는 희망으로 블로그에 200lx의 활용법에 대해 쓰겠다고 공언했건만, 200lx의 개념 및 가치에 대한 글을 올리다가 막상 200lx의 활용법을 소개해야할 시점에서 일과 바쁨을 핑계로 차일피일 미루다가 별로 언급하지 못한 것 같다.


어떤 이는 이 블로그의 글들을 읽어보고 '구매뽐뿌'를 받아 중고시장에서 200lx를 구매하기까지 했다는데, 이런 분들에게 다소 미안한 마음까지 든다. 


나의 경우에 대해 잠깐 언급하자면, 

내게 '당신의 200lx는 아직도 현역입니까?'라고 묻는다면,

나의 대답은 '네. 아직도 현역입니다.' 이다. 


물론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의 사용으로 인해 200lx의 활용영역이 이 블로그를 시작할때에 비해서 축소되기는 했다. 하지만, 각종 스마트기기들이 장악한 현재의 환경 하에서도 200lx가 빛을 발할 영역은 아직도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내가 느끼기에 그러한 것들을 앞으로 짬짬이 블로그에 소개해볼 생각이다.


목구멍이 포도청이기도 하거니와, 쓸데없이 바빴고 이유없이 피곤했던 나날을 뒤로하고,

어느날 갑자기 또는 우연히 블로그에 접속했을때, 아! 어느새 1년이라는 시간이 또 훌쩍지나가버렸구나' 라는 탄식...


비록 블로그의 텍스트와 이미지로 변환되지는 못했지만, 이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일상속에서 스쳐지나갔던 여러 생각들은 그때그때 리갈패드 위에 볼펜 글씨의 형태로 남겨졌다. 이런 식으로 기록된 메모들은 내 파일철에 상당한 분량이 쌓여있다. 나는 이 글을 쓰는 지금 이순간 내년엔 시간이 허락하는데로 이들을 블로그 포스팅으로 정리해야겠다는 동기가 다소 고취됨을 느낀다. 

오늘은 이러한 동기부여를 실천으로 옳기는 그 첫 단계로써 이 블로그에 약간의 작업을 더했다.

이 블로그 글들이 PC의 웹브라우져에서와는 달리 태블릿을 통해 보여질땐 행간 또는 문단 간격이 상당히 오밀조밀하고 빡빡하게 화면에 표시되었다. 이로 인해, 모바일 브라우져에서의 가독성이 그리 좋지않았다. 이에 html 코드를 관찰하여 잘못된 부분들을 다소 수정함으로써 태블릿 또는 패블릿에서 읽더라도 보다 시원시원한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개선했다.


이 블로그를 시작할때 내가 가지고있던 200lx는 1~2대에 불과했으나, 지금은 십여대에 달하는 200lx를 보관하고 있으며, 그 중에 2대를 내 작업터 및 방에서 항상 곁에 두며 애용하고 있다. 이러한 경험들에 대해서도 조금 더 자세히 소개할 수 있기를...


많은 이들이 200lx는 도스용 XT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작은 기기 정도로 인식하고 있지만,

물론 200lx가 DOS 기반 위에서 동작하는 것은 틀린 말은 아니지만,

엄밀히 말해서 200lx는 

싱글태스킹(single tasking: 한번에 한가지 프로그램밖에 실행시키지 못함)의 도스기기라기보다는

설계단계에서부터 치밀하게 멀티태스킹(multi tasking: 작업 데스크 위에서 여러개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하며 필요에 따라 프로그램들간 협업)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기기(device)이다.


겨우 빛을 보나싶었는데, 다시 버려지게된 이땅의 모든 200lx에게 깊은 안타까움을 전하며,

그러한 200lx 동지들을 한 대라도 더 구했으면 좋겠다는 마음을 담아,

내년에는 조금 더 많은 글들을 올려야겠다는 지키지 못할지도 모르지만 지키기를 희망하는 다짐과 함께

오늘은 여기서 마감해야할 것 같다. T-T;;;

Posted by 200LXer
:

작년 이맘때 쯤 포스팅된 http://200lx.tistory.com/49 글에는 볼펜을 주제로

비록 짧은 기간이었지만, 마하펜, 사라사, 에너겔, 제트스트림 제품들의 개인적인 사용경험이 담겨 있다.

위 글이 작성된 후, 어느덧 1년여의 시간이 지났다. 여전히 나는 볼펜 사용량에 있어서는 헤비유저(heavy user)에 속하는 편이다. 링크된 글을 쓰기 전에 위에서 나열한 브랜드의 제품들을 위주로하여 세부 모델별로 다양한 종류의 볼펜들을 구입했고, 지금까지 용도별 취향에 따라 주기적으로 두루두루 바꿔가며 사용해오고 있다. 지금은 당시에 비해서는 이들 제품에 대해 1년여 정도의 사용 경험이 축적된 샘이다.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볼펜(특히 중성펜)에 관련하여 추가로 도움이 될만한 여러 포스팅이 가능할 것도 같다. 다른 제품도 그러하겠지만, 볼펜 역시 제품별로 개성을 달리하기에 각각의 제품을 사용하는 쏠쏠한 재미가 있다.


일단, 볼펜을 즐기는데 있어서 도움이 될 수도 있는 배경지식에 관련된 내용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봤다.



1. 문방사우(文房四友)와 볼펜, 학습도구의 집약체


옛날 우리 선조들은 종이, 붓, 먹, 벼루 4가지를 친구(벗)에 빗대어 문방사우(文房四友)라고 표현하였다.

그런데, 가만히 살펴보면 문방사우 중에 종이를 제외한 붓, 먹, 벼루 3가지가 현대 볼펜에 집약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그림과 현대 볼펜심을 비교해서 살펴보면,



[그림1] 문방사우(文房四友)와 현대 볼펜의 리필심, 원본이미지 from 위키피디아, en.wikipedia.org/wiki/Four_Treasures_of_the_Study


[그림1]의 왼쪽 윗 부분은 물을 담은 벼루(Inkstone)에 먹(Inkstick)을 간 것을 나타낸 것이다. 먹은 농축 잉크, 벼루는 잉크를 담는 용기, 물은 용제의 역할을 한다. 오른쪽 윗 부분은 붓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크게 붓의 촉(head and hairs)과 붓의 대(body, handle) 두가지 파트(part)로 나눌 수 있다. [그림1]에서 붓 중 붓의 촉(head and hairs) 및 물을 담은 벼루와 먹이 집약된 것이 볼펜의 리필심이고, 붓의 대(body, handle)에 해당하는 것이 볼펜의 리필심을 제외한 부분이라고 보면 되겠다.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문방사우의 영어 표현은 <Four Treasures of the Study(학습에 있어 네가지 보물들)>인데,  볼펜은 4가지 보물들 중 3가지를 담고 있으니 참으로 소중한 생산성 도구라고 할 수 있겠다.[각주:1]



2. 볼펜의 핵심은 리필심(Refill, Ink Catridge)과 펜대(penholder)


구글 검색을 해보면, [그림1]의 (1) 부분을 일컫는 용어로 잉크 챔버(ink chamber) 또는 잉크 카트리지(Ink Catridge) 같은 표현이 등장한다. 챔버(chamber)나 카트리지(catridge)의 사전적 의미는 무엇인가를 담는 용기를 뜻한다. 즉, 잉크 챔버/카트리지는 잉크를 담고 있음을 나타내는 어휘가 되겠다. 그런데, 볼펜 제조사들은 이러한 어휘보다는 리필(Refill)이라는 표현을 주로 사용한다. 리필(Refill)이란 단어는 제조사 입장에서는 <볼펜 유저에게 별도로 판매하는 소모품(상품)>이라는 의미를 전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볼펜 유저 입장에서도 <다 쓰면 갈아끼울 수 있는 파트(part)>라는 의미가 직관적으로 느껴진다는 점에서 괜찮은 표현이라고 생각된다. 이런 면에서 국내 오픈마켓에서 통용되는 리필심이라는 표현은 매우 적절한 것 같다.


또한, [그림1]의 (2) 부분을 일컫는 용어로 구글링 해보면, 펜홀더(penholder)라는 표현을 접할 수 있다. 말그대로 펜대라는 국어표현으로 번역된다. 볼펜에서 리필심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지칭하는 말이다. 원래는 펜촉을 꽃아서 쓰는 자루를 뜻하는 말이었고, 사무직 노동을 뜻하는 <펜대 굴리다>라는 관용구도 존재한다.



3. 볼펜의 개성은 리필심(Refill, Ink Catridge)과 펜대(penholder)의 조합으로 드러남


볼펜의 성능은 리필심(refill)이 담고 있는 잉크의 특성과 리필심을 통해 잉크가 어떻게 종이 위에 실제로 필기되느냐에 따라 좌우된다. 한마디로, 리필심은 필기의 품질을 결정하는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 되겠다. 

한편, 펜대(penholder)의 특성 역시 유저의 필기감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면, 펜대의 재질이 플라스틱, 금속 또는 목재이냐에 따라 필기감이 달라지는데, 이는 펜대의 재질별 특성이라 할 수 있다. 펜대는 또한 볼펜의 모양과 색상 등과 같은 디자인적 요소가 주로 반영되는 곳이며, 어고노믹스(ergonomics)[각주:2]라는 단어로 표현되는 인체공학적 요소가 고려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것들이 모여서 특정 볼펜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결정한다.


[그림2] <리필심 + 펜대>의 조합


결국, 볼펜의 개성은 <리필심 + 펜대>의 조합으로 드러난다. 다만, 볼펜의 잉크는 모방이나 복제가 그리 쉽지 않은 반면, 펜대(penholder)는 디자인 특성 등에 있어 경쟁사의 모방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에서, 볼펜 기술의 정수(精髓)는 리필심에 있는 것 같다.



4. 볼펜 즐기기


[그림2]와 같은 <리필심 + 펜대>의 조합에 따라 유저 입장에서는 크게 3가지 방식으로 볼펜을 즐길 수 있다.

(1) 특정 볼펜 제조사가 제시하는 표준 제품을 그대로 사용: 나름대로 제조사의 연구 및 노하우가 반영된 것이므로, 그 볼펜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도 괜찮다.


(2) 마음에 드는 리필심을 기준으로 펜대를 바꿔가며 사용: 대부분의 볼펜 제조사들은 사라사, 에너겔, 제트스트림, 스라리 등에 사용되는 자사의 리필심을 별도로 판매하고 있다. 사용자는 이들 중 마음에 드는 <리필심을 기준>으로 펜대를 바꿔가면서 써보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라 생각된다. 


[그림3] <리필심을 기준>으로 펜대를 바꿔가며 사용 (리필심에 호환되는 다른 종류의 볼펜 펜대가 있을 경우)

※ 펜대 a,b,c,d는 각각 에너겔 BL107 ,제트스트림 SXN-150, 에너겔 트라디오(Tradio), 제브라 에어피트(ZEBRA Airfit Jell) 볼펜의 펜대


물론, 이러한 방법을 위해서는 각각의 리필심에 어떠한 펜대들이 호환되는지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 펜대(볼펜에서 리필심만을 제외한 나머지 볼펜 껍데기를 통칭하는 단어)호환에 관련해선 별도로 살펴볼 예정)


(3) 마음에 드는 펜대를 기준으로 리필심을 바꿔가며 사용: 특정 펜대가 편하다는 느낌이 들때, <펜대를 기준>으로 리필심을 바꿔가며 사용하는 방식을 생각해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래 [그림4]의 펜대는 <제트스트림 알파겔>이라는 제품의 펜대이다. 이 볼펜은 사용자의 중지에 굳은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어고노믹스(ergonomics) 요소를 적용하여 그립부분을 말랑말랑하면서 탄력있는 소재로 만들었다. [그림4]와 같이, 이 볼펜의 펜대에는 여러 리필심이 호환가능하므로, 자신의 기호에 맞는 리필심을 넣어 사용할 수 있다. 내 경우, 에너겔의 리필심을 넣어 사용하고 있다. 


[그림4] <펜대를 기준>으로 리필심을 바꿔가며 사용 (볼펜 펜대에 호환되는 다른 종류의 리필심이 있을 경우)

※ 리필심 a,b,c,d는 각각 사라사(SARASA) JF-0.7, 에너겔(ENERGEL) LR7-A, 사쿠라(SAKURA) R-GB05, 제트스트림(JETSTREAM) SXR-38


물론, 이러한 방법을 위해서는 각각의 볼펜 펜대에 어떠한 리필심들이 호환되는지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 리필심 호환에 관련해선 별도로 살펴볼 예정)



5. (참고) 볼펜 구성 세부 요소 및 각부 명칭, 볼펜의 종류 등

참고로 볼펜의 구성 세부 요소 및 각부 명칭과 관련해서는 

구글링을 해보니, 볼펜의 각 구성부품의 명칭은 개인별, 제조사별, 사이트별로 제각각 달리 불리는 듯 하여 다소 중구난방인 면이 없지 않다. 구글링을 통해 검색해본 여러 정보들 중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직관적으로 보였던 것은 아래와 같이 링크를 걸어둔 <볼펜의 해부 구조>라는 조금은 재미있는 제목의 글이었다. 


(하이퍼링크) <볼펜의 해부 구조> http://www.qualitylogoproducts.com/blog/the-anatomy-of-pens-and-pencils/


위 링크의 글에서는 <캡방식>이라고 불리는 펜을 <스틱 펜(Stick Pen)>이라 부른다.

[그림5] 스틱펜(캡방식 볼펜), img source: www.qualitylogoproducts.com/blog/wp-content/uploads/2013/12/stick-pen.jpg


[그림5]를 보면, 손에 잡는 부분은 그립(grip), 그립과 연결되는 부분은 통이라는 의미의 배럴(barrel)이라고 부른다. 여기선 리필심(refill)을 잉 챔버(ink chamber)라 하였는데, 이 글의 2. 부분에서 언급했다시피, 볼펜제조사들은 리필(refill)이라는 표현을 더 즐겨쓴다. 


위 링크 글에서는 똑딱이 볼펜을 <리트랙터블 펜>이라고 부른다. 위키피디아를 검색해보더라도 알 수 있듯이,  <Retractable Pen>이 <똑딱이 볼펜>의 가장 보편적인 영어식 표현이다.[각주:3]

[그림6] 똑딱이볼펜(Retractable Pen), img source: www.qualitylogoproducts.com/blog/wp-content/uploads/2013/12/retractable-pen.jpg


※ 영영사전에 따르면, 

A retractable part of a machine or a building can be moved inwards or backwards.

리트랙터블이란 특정 부분이 전방으로 이동했다가 후방으로 철회될 수있음을 표현하는 어휘이다.


※ 위 링크 글에 따르면, 볼펜 그립부위를 돌려서 볼펜촉을 돌출시키는 방식의 볼펜을 트위스트 펜(Twist Pen)이라 한다. (※ 이에 대한 상세정보는 하이퍼링크 글 참고)


지금까지, 하이퍼링크된 <볼펜의 해부 구조>라는 글에 제시된 <볼펜의 분해그림>을 통해, 세부 구성 요소의 명칭도 살펴봤다. 하지만, 볼펜을 즐기는데는 배럴이니 팁이니 튜브니하는 어려운 용어를 몰라도 아무런 상관이 없다. 내 경험으로는 <이 글의 4. 부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단순하게 어떠한 <리필심 + 펜대>의 조합을 가져갈 것인지만을 결정하면 쏠쏠한 재미의 볼펜 즐기기가 가능하다.

  1. http://en.wikipedia.org/wiki/Four_Treasures_of_the_Study [본문으로]
  2. (하이퍼 링크) http://en.wikipedia.org/wiki/Human_factors_and_ergonomics [본문으로]
  3. http://en.wikipedia.org/wiki/Ballpoint_pen [본문으로]
Posted by 200LXer
:

야마하의 NX-A01이란 소형 스피커를 사용하고 있다. 2010년에 12만원 정도의 가격에 구매한 후, 주로 아이패드에 연결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나름대로 특색있는 소리를 들려주는 것 같다. 적당히 부담없고 깨끗한 느낌이라고나 할까? 



[이미지] YAMAHA NX-A01, img source: http://usa.yamaha.com/


나는 이 스피커를 상당히 마음에 들어하는지라, 작년 초 예비용으로 하나 더 구매해볼까란 생각을 했다. 하지만, 이미 단종되었고, 재고품도 오픈마켓에서도 품절된지 오래되었다. 이 제품이 최초 출시된 시기가 2006년 2월이라고 하니, 출시 후 단종까지 5~6년 정도의 기간동안 판매가 된 제품이라 짐작된다.


그런데, 최근에 해외쇼핑몰에서 이 스피커의 재고품을 판매하는 것을 알게되어 구매했다.


[사진] 야마하(YAMAHA) NX-A01, 색깔이 다소 바랜 왼쪽이 기존에 쓰던 것, 오른쪽이 최근에 구매한 것


제품을 수령하기까지 제법 오래 기다리긴 했지만, 새 제품인데 판매가격은 50달러 정도였고 배송비까지 합해도 2010년 내가 구매한 가격의 절반 가격 정도에 구매한 샘이다.

그냥 쓸땐 몰랐었는데, 새로 구매한 NX-A01 스피커를 기존에 쓰던 것(위 사진 왼쪽)과 나란히 놓고 보니, 기존에 쓰던 제품의 외관이 신품에 비해 다소 노랗게 익어 있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내가 사용하는 흰색 체리키보드도 4년정도 사용하니 처음의 뽀얀 흰색 상태를 상실하고, 현재는 다소 누런 색으로 바랜 느낌을 준다. 구글링에 따르면, 이런 현상을 옐로우잉(yellowing)이라 한다. 흰색 계통 제품의 경우, 플라스틱이 빛과 열에 노출되면서 시간이 지남에따라 서서히 화학적 변화를 일으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한다. 사람만 늙는 것이 아니라 플라스틱도 늙는 것 같다.



[사진] 야마하(YAMAHA) NX-A01 뒷면, 국내에서 판매된 것은 외장 블루투스 모듈과의 연결부가 생략되어있음을 알 수있다.


제품을 돌려놓고 보았더니, 새로 산 NX-A01의 뒷면에는 기존의 것과 다르게 외장형 블루투스 모듈과의 연결부가 있다. 국내에 수입된 모델의 경우, 블루투스 모듈 연결부가 생략되었던 것 같다. 나머지는 모두 동일하다.


[이미지] NX-A01 블루투스 모듈 연결 모습, img source: gadgetreview.com/2006/01/yamaha-nx-a01-bluetooth-speaker-system


위 사진이 외장형 블루투스 모듈을 연결한 모습이라고 하는데, 일본의 일부 전자제품몰에 지금도 재고가 남아있는 것 같다. 나는 블루투스 모듈을 구매할 생각까지는 없고, 그냥 예비용 NX-A01이 생겼다는 생각만으로 든든하다.

Posted by 200LX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