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본방을 사수했던 <유나의 거리>라는 드라마가 2014년 11월11일(화) 50회를 마지막으로 종영되었다. 드라마가 끝이나자 왠지 모를 여운이 깊게 남았다.

나는 8월 초 경 무심코 케이블 채널을 돌리다가 우연히 <유나의거리> 19회 중반부쯤의 내용을 재방송으로 접했다. 개인적으로 국내 드라마를 안본지도 거의 1년 가까이 된 것 같은데, 이 드라마의 경우, 주말 및 휴일에 IPTV에 올라와있는 VOD들을 질주했다. IPTV에 VOD로 올라온 분량을 모두 시청하여 본방회수를 따라잡은 26회부터는 두세번을 제외하고는 거의 정규방송 본방을 사수했다. 내가 지금까지 본 한국 드라마들 중 가장 완성도가 높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같다.




※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유나의_거리


주인공 김창만 역할을 맡은 이희준 이라는 배우의 연기가 참 자연스럽고, 극중 김창만에 너무나 잘 어울리는 듯 했다. 개인적으론 김창만에게는 유나(김옥빈)보다는 다영(신소율)이 더 잘어울릴 것 같다는 생각도 하면서, 과연 작가가 창만을 누구와 맺어줄 것인가?도 흥미로왔다. 문간방 장노인(정종준)도 남의 일 같지 않았다. 봉반장(안내상), 만복(이문식)도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캐릭터이다. 드라마 속에 녹아있는 <의리와 배려 및 따뜻한 인간미>가 참 좋았다.


사극이 아닌 월화드라마로는 다소 이례적인 50회라는 장편의 분량이 방영되었는데, 드라마에 출연하는 거의 모든 등장인물들의 개성들이 살아있고 (하다못해 단발성 출연의 조연까지도) 이러한 각각의 개성들이 유기적으로 자연스럽게 얽히며 드라마는 물흐르듯 전개되었던 것 같다. <이 드라마 작가 진짜 천재구나!>라는 생각도 여러번 했다. 

구글링 및 위키백과(http://ko.wikipedia.org/wiki/김운경_(작가))에 따르면, 이 드라마의 작가가 과거 <한지붕 세가족> 및 <서울의 달>이라는 전국민 드라마급의 작품을 집필했던 사람이라고 한다.


개인적으로 국내 드라마를 시청하다보면, <내가 왜 이런걸 보고 있지?> 라는 생각이 들 때가 많았다. 이것도 일종의 스트레스라는 생각에 드라마 자체를 끊어버렸던 것 같다. 하지만, <유나의 거리>의 경우, 보고 있으면 마음이 그렇게 편안할 수가 없었다. 드라마가 전반적으로 차분한 분위기 속에 잔잔하게 전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전혀 지루하지 않았다.


아마도, 나는 조만간 이 드라마를 처음 1회부터 마지막 50회까지 다시 한번 정주행하게 될 것 같다.

Posted by 200LXer
:

마이클 포터(Michael Porter) 교수님의 Five Forces(파이브 포스) 분석은 마케팅, 국제경영, 전략, MIS 등 다양한 참고서에서 인용 되기 때문에, 노출 빈도도 높고 또 모르는 사람도 거의 없는 것 같다.

하지만, 막상 경쟁전략(Competitive Strategy) 책을 통독한 사람은 드물 것이라 생각된다. 책이 다소 두껍기도 하고, 왠지 손이 잘 가지 않는 타입의 책이라고나 할까?

경쟁전략(Competitive Strategy)은 1980년에 초판 발행된 책으로, 고전 중의 고전에 속하는 책이겠지만, 조안 마그레타의 경영이란 무엇인가?(What Management Is?) 등 많은 책들이 여전히 경쟁전략 책의 내용을 인용하고 있으므로 경영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차근차근히 읽어볼만한 책이라 생각된다.


개인적으로 이 책을 읽는데 도움이 될만한 몇가지 배경지식을 언급하자면,


1. 마이클 포터(Michael Eugene Porter)

[사진] 마이클 포터 교수, May 23, 1947, image source: en.wikipedia.org/wiki/Michael_Porter


그의 이론적 토대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베인과 그의 은사인 케이브스에 의해 확립된 <시장구조, 시장행동, 시장성과>라는 인과관계에 기초한 SCP패러다임(Structure, Conduct, Performance-구조가 행동을 결정하고, 행동이 성과를 결정한다는 이론)이라 불리는 하버드 학파의 산업조직론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포터는 자신의 산업조직론의 연구성과를 기업경영에 적용해 경쟁전략의 틀을 만들었다.[각주:1]

참고로, 그가 HBR[각주:2]에 기고한 유명한 글들은 아래와 같다. 경영학 수업시간에 보조교재로 많이 사용되곤 했다. 도서관에서 전자저널로 검색하면 쉽게 접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1. How comptitive forces shape strategy  1979 March - April HBR 

 2. From competitive advantage to corporate strategy 1987 May-June HBR 

 3. What is strategy? 1996 November-december HBR 

 4. How information gives you competitive advantage 1985 July-August HBR 

 5. Seven surprises for NEW CEOs 2004 October HBR 

 6. Redefining Competition in Health Care 2004 June HBR 

 7. Strategy and the Internet 2001 March HBR 

 8. Green and Competitive: Ending the Stalemate September 01, 1995 

 9.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the Inner City May 01, 1995 

 10. Coca-Cola vs. Pepsi-Cola and the Soft Drink Industry Case March 27, 1991 

 11.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ations March 01, 1990 HBR 

 12. Cola Wars Continue: Coke vs. Pepsi in the Twenty-First Century Case...




2. 산업(Industry) 분석

포터 교수의 틀을 가지고 분석할 때, 흔히 산업분석이라는 용어가 등장한다.

산업(Industry)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산업(Industry): 동일한 시장 내에서 경쟁하는 일련의 회사들, 또는 조직들을 산업이라고 부른다. 

Industry means a group of companies or organizations that compete in the same market. 


우리에게 익숙한 스왓분석(SWOT)은 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Threat를 뜻하는 것인데,

산업분석은 SWOT에서 외부요인에 해당하는 기회요인(Opportunity) 및 위험요인(Threat)에 해당하는 것이다.

※ http://200lx.tistory.com/46 의 SWOT 과 ERRC 와의 연관관계를 참고하면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 같다.


5 Forces Analysis는 포터 교수가 제시한 5가지 요소들(아래 다시 설명)로 바라본 산업분석의 한가지 기법이라고 보면 된다.




3. 5 Forces Analysis의 Assumption(5 Forces 분석의 전제조건)

[그림] 5 Forces를 도식화한 것, Image from Wikipedia, en.wikipedia.org/wiki/Porter_five_forces_analysis


위 그림은 5 Forces 의 5가지 요소(factor)들인 산업내 경쟁(Rivalry), 구매자의 구매력(Bargaining Power of Buyers), 공급자의 교섭력(Bargaining Power of Suppliers), 신규 진입자의 위협(Threat of new entrants), 대체제의 위협(Threat of substitute)을 도식화해 표현한 것이다. 



(1) 기본전제(Assumption) 1: 산업의 매력도는 경쟁에 달려있다.


위 그림의 5 Forces Analysis에서 알아두어야 할 5 Forces 분석의 기본전제(Assumption)는 먼저 산업의 매력도는 경쟁(competition)의 정도에 달려있다는 것이다.

다시말해, y를 수익이라고 한다면, y=f(competition)의 함수로 표현될 수 있겠다. 즉, 경쟁의 치열도에 따라 어떠한 산업의 수익성(Industry Profitability)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본전제로부터 출발하여

경쟁이 많을수록 수익이 떨어진다 → 경쟁을 ↓해야 한다  그렇다면 경쟁을 결정하는 요인은 무엇일까?

라는 고민으로부터 나온 것이 위의 5 Forces 분석 모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5 forces(파이브 포시스) 분석 모델을 통해,

새로운 진입자를 막기 위해, 진입장벽(Barriers To Entry)을 형성하고, 바게닝 파워를 형성하기 위해, 공급자와 구매자들 사이에 높은 전환비용(switching cost)을 형성하여, 종속적 관계(lock-in)를 유도하며, 매력적인 시장에 시간적으로 빨리 진출해서, <경험곡선 효과>와 <규모의 경제 효과>라는 것을 통해 선점효과(First Mover's Advantage)를 누리라고 조언한다.



(2) 기본전제(Assumption) 2:  5 Forces는 제로섬 시장(Zero Sum Market)을 전제로 한다.


상기의 기본전제 1 에서 경쟁이 약할수록 매력적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과연 경쟁이 심하면 기업에 나쁜 영향만을 미치는 것일까?

 

(a) 우리는 가구점, 의류점, 주점, 카페, 음식점, 전자제품 판매점들이 한 곳에 모여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이런 현상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가구점, 의류점 등이 독립해서 떨어져 운영되면, 자신의 인근지역의 사람들만 끌어모을 수 있지만, 한군데 뭉쳐있으면, 지역적으로 멀리 떨어진 사람들을 끌어들여서 시장(market) 규모 자체가 커지는 효과가 생긴다. 참여자들이 경쟁이 심한 것을 알면서도 경쟁으로 인한 불이익보다 이익이 크다고 생각되면 경쟁이 심함에도 불구하고 모여들게 된다.

 

(b) 또다른 예로, A, B, C사는 각각 자사의 A맥주, B맥주, C맥주가 시장에서 잘팔리기를 기대하면서, 각각의 맥주를 광고하지만, 사실 A맥주 광고를 많이 접한 사람이 B, C 맥주를 구매하기도 한다. 구매자 입장에서는 맥주광고가 거기서 거기라는 인식을 형성하면서, 맥주광고를 많이 봐서 맥주를 많이 소비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A사는 A맥주의 판매량 신장을 기대하고 광고를 했지만, 전체 맥주 시장의 매출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것을 경제학 용어로 스필오버 효과(spillover effect)라고 한다. (즉, A맥주를 광고하면, A맥주 뿐만이 아니라, 맥주가 전반적으로 많이 팔리는 현상)

(a)(b)의 경우는 참여자의 수가 증가하는 과정에서 시장의 사이즈(size) 또는 파이(pie)도 커지는 일종의 Positive Sum(포지티브 섬)의 예가 되겠다.

 

그래서 내릴 수 있는 결론은, 

5 Forces의 전제는 Zero Sum(제로섬, 내가 먹으면 남이 잃고, 남이 먹으면 내가 잃는 상황)을 전제로 한다는 것이다. 이는 5 Forces 분석(Analysis)은 성숙된 시장에서 적용했을때 유효적절한 분석 방법임을 시사한다.



4. 기타 사항

경쟁의 방법에 대해서도 한번쯤 생각해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비록 경쟁의 강도가 높다하더라도, 경쟁방법이 다양한 경우와 다양하지 않은 경우, 각각의 경우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5 Forces 방법론에는 경쟁의 방법이 얼마나 다양하느냐 단조로우냐의 문제는 심도있게 다루지 않는다. 단지, 원가 우위(Cost leadership)를 추구한다거나, 차별화(Differentiation)를 시도하라거나, 집중화(Focus) 하라는 것 3가지의 전략만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은 포터 교수님의 초기 이론이 경제학의 개념에서 출발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경쟁의 숫자, 경쟁자의 규모로 경쟁의 치열하고 적음을 논하는 것은 경제학에서 배웠던 개념이다. 5 Forces 분석기법이 산업분석(Industry Analysis)에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분석을 통해 도출된 정보로는 기업의 의사결정에 별다른 뾰족한 수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물론 그 정보가 의사결정에 어떠한 아이디어를 주는 경우도 있겠으나)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산업분석을 했다고 해서 어떻게 실제 action을 취할 것이냐 에 대한 구체적인 복안을 얻기가 어려웠던 경우가 더 많았던 것 같다.


  1. 경영의 교양을 읽는다, 더난출판 [본문으로]
  2. Harvard Business Review [본문으로]
Posted by 200LXer
:

한국에서 경영학 입문 과정에 들어가면 항상 접하게 되는 이름이 있다. 마이클 포터(Michael Porter)...

그의 5 Forces 툴(tool, 각각 Rivalry, Buyer, Supplier, Threat of New Entrants, Threat of Substitute)은 너무나 유명하며, 이에 근거해서, 비용우위(Cost leadership) 전략, 차별화 전략(Differentiation), 집중전략(Focus)의 세가지 전략은 경영기획과 관련된 사람들은 대부분이 알고 있는 이론적 틀(framework)인듯 하다.


하지만, 경영학 분야에서 이상하게도 유독 한국에서만 잘 알려지지 않은 이름이 있었으니, 다름 아닌 캐나다가 배출한 세계적인 경영학자 헨리 민쯔버그(Henry Minzberg) 교수이다. 나 역시 이 분에 대해 이름 정도만 알고 있다가, 2005년 Strategy Safari 라는 책을 통해 민쯔버그의 생각을 본격적으로 접할 수 있었다. 1998년에 초판 발행된 책으로, 2005년 Free Press 에서 페이퍼백으로 재발행되었던 책이다. 포털검색에 따르면, 2012년 <전략사파리>라는 제목으로 번역본이 출간되었다.


[사진] 헨리민쯔버그(Henry Mintzberg, 1939년~  ), image source: en.wikipedia.org/wiki/Henry_Mintzberg



내가 생각하는 민쯔버그의 장점은 <균형된 시각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이 분의 책을 읽어보면 어떠한 현상을 해석함에 있어 어느 한 쪽으로 쏠려 균형감각을 상실하는 것을 상당히 경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민쯔버그 교수의 책은 균형된 시각을 견지하는 만큼, 그의 문장이 함축(imply)하고 있는 내용이 쉽지만은 않고, 처음 읽는 입장에선 차근차근히 생각하며 읽어야 했던 것 같다. 개인적으로 번역본의 경우, 읽는 과정에서 저자가 도대체 무슨 말을 하는 것인지 와닫지 않는 부분 또는 읽어도 내용이 잘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많을 것이라 생각된다. 번역은 제2의 창작이라고 하는데, 민쯔버그 교수의 논조, 느낌과 그 함의(implication)를 번역에서 충분히 살려서 전달하기가 쉽지 않아보이기 때문이다. 가능하다면 가급적 원서를 추천하고 싶다.

※ 민쯔버그의 <Strategy Bites Back>이라는 책도 <균형잡힌 시각 / 개념> 측면에서 독자에게 많은 것을 시사하는 좋은 책이라 생각된다.


아래의 [그림 1] Realized Strategy 관점이 이를 잘 보여주는 것이다. [그림 1]은 민쯔버그가 1985년 처음 제시한 것으로, 이 그림은 1998년 출판된 Strategy Safari 책에도 삽입되어 있는데, 전략에 관한 한 이 그림처럼 360도 차원에서 모든 것을 말해주는 개념이 없다는 생각이 든다.

[그림 1] Strategies Deliberate And Emergent, from Strategy Safari, 1998


[그림 1]은 아래의 5P로서의 전략(Five Ps for Strategy) 프레임웍(framework)을 포괄하는 것으로,

※ 5Ps의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자면, 

☆ 전략(strategy)이란? 

 1. Ploy(플로이, 책략): 단기 책략이다. 그때그때 상황에 따른 전술(Tactics)의 임기응변, 융통성, 단타적이면서 찰나적인 효과가 빠른 전술(예를 들면, 가격할인 정책 등)을 의미 

2. Plan(플랜, 기획): 처음부터 끝까지 일목요연하게 계획하는 것, 회사에서 경영 또는 전략기획이라고 하는 것들 (예를 들면, 예산부터 시작해서 사업계획, 중장기 계획, 실행계획 등) 

3. Pattern(패턴): 어찌어찌 하다보니 결과적으로 생성되는 것, fomulation 이 아닌 foundation 으로서의 전략

 (예) 도자기를 빚을 때, 어떤특정모양의 도자기를 미리 빚어야지 하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빚어놓고 나니, 특정 모양의 도자기가 되는 현상 

4. Positioning(포지셔닝): 특정한 기회를 발견하고 시장에서 그 위치를 점유하는 것 (기회에 Fit하는 개념) 

5. Perspective(펄스펙티브): 패러다임을 바꾸는 것, 게임의 룰, 사업의 방식을 바꾸는 것

 (예) 환자가 병원에 가는 것이 병원의 주된 사업 논리라고 한다면, 병원의 의사가 환자가 주문하면 짜장면 배달하듯이 환자의 집에 방문해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1의 Ploy 를 제외한, 2~4까지는 각각 대립되는 개념을 담고 있다.

◆ Plan vs Pattern: 과연 처음부터 계획하느냐 아니면 후행적으로 시행착오의 반영이냐?

◆ Positioning vs Perspective: 시장의 기회를 주어진 것으로 보고 거기에 Fit시키느냐 아니면, 시장의 룰을 스스로 바꾸어가면서 적극적으로 Rule을 breaking 또는 setting 하느냐?


[그림 1]에서 Deliberate Strategy는 <의도된 전략> 정도로 번역될 수 있는데, 5Ps에서  Plan이 여기에 해당하는 것이다. 회사에서 흔히들 기획이라고 부르는 업무는 거의 모두 이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접하는 회사의 기획자들, 전략관련 서적들이 전략을 이러한 의도된 전략으로만 이해하고 있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이 부분과 관련된 Strategy Safari 에서 민쯔버그의 설명은 내가 기억하기로 이러했다. 

OO회사가 계획을 세운다고 치자... 1년이 지나서 과연 계획대로 되었냐고 물었을때, 회사 기획 담당자가 100% 계획대로 되었다고 한다면, 그 회사는 정말 수퍼맨들이 모여사는 동네이거나, 99%는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이다. 라는 설명으로 시작


그래서, 함께 살펴보아야 할 것이 [그림 1]의 밑부분에 위치한 Emergent Strategy이다.

Emergent Strategy는 <후행적 전략> 또는 시행착오(trial & error)적 전략 정도로 번역될 수 있고, 5Ps에서 Pattern이 여기에 해당한다. 지식경영 중 많은 부분, 학습조직, 시행착오, 후행적 결과 등도 이 범주에 속한다. 사실 Emergent Strategy 의 Pattern 측면에서 보면, 짐콜린스의 책 <Good To Great>에서 설명하는 Great한 기업들이 가지는 비전경영으로서의 속성(변해야할 것과 변하지 말아야 할 모순적인 대립적 속성의 요소들을 동시에 보유하면서 굳건한 핵심가치와 비전을 가짐)은 <뒤돌아보고 나서 억지로 틀에 꿰어맞춰서 그런거지 해당 기업이 그 당시에는 그렇게 의도하면서 기업의 성장 path를 밟아나가진 않았다>라는 반박이 가능하다. (너무 이렇게만 생각하는 것은 문제가 있겠지만, 후행적 학문으로서의 경영학에 경종을 울릴 수 있는 상당히 일리있는 반박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Strategy Safari 책에서 민쯔버그는 강조한다. 전략은 모두 다라고... 의도된 전략(Deliberate Strategy) 뿐만 아니라 후행적 또는 시행착오적 전략(Emergent Strategy)도 전략이다. 따라서, 민쯔버그는 [그림 1]에서와 같이 Deliberate Strategy와 Emergent Strategy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을 Relized Strategy라는 용어로 표현했다.


마이클 포터가 그의 유명한 논문 전략이란 무엇인가?(What is Strategy?) 에서 일본기업들은 원가절감, 지속적 개선과 같은 결국에는 한계가 존재하는 Operational Effectiveness(생산성 향상효과)만 있을 뿐 이러한 것이 전략은 될 수 없고, 그래서 일본기업들에게는 전략이 없고, 이러한 전략부재가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의 원인이다와 같이 이야기 한 것에 대해,

Strategy Safari 책 내에서 민쯔버그의 논조는 한마디로 <웃기고 있네!> 정도가 되겠다.

민쯔버그에 의하면, 이것도 전략이고 저것도 전략이고, Operational Effectiveness (후행적 pattern, emergent strategy)도 훌륭한 전략이고, 따라서 일본에는 전략이 있다라는 것이다. 전략을 Deliberate Strategy로만 이해하지말 것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나는 이해했다.


마이클 포터는 그의 논문(What is Strategy)에서 <a set of distinctive activities with tradeoff>라는 개념(다른 기업이 흉내내기 어려운 트레이드 오프를 일으키는 독특한 가치사슬의 확립, 즉, 경쟁기업이 어설프게 흉내 내어서는 어림도 없을 정도로 정교하게 설계된 Deliberate Strategy)을 제시했는데,

민쯔버그는 이러한 견해에 대해 처음부터 그렇게 의도하고 한 회사가 어디있는가?로 반문하고, 전략이란 Deliberate 와 Emergent 의 복합적인 시각, Positioning 과 Perspective 의 회사의 상황에 따른 적용을 해야한다고 조언하고 있는 것이다.


여러 유명한 경영학 교수들도 민쯔버그가 제시한 [그림 1]의 논리를 그들의 이론에 반영하고 있는데,


크리스텐슨 교수(Clayton M. Christensen)는 그의 책 성장과 혁신(Innovator's Solution)에서 의도된 전략과 시행착오적 후행적 전략의 시행을 상황에 따라 적용해야 함을 지적하고 있다. 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을 경우, 신시장의 창조에 의한 와해성전략의 추구에는 Emergent Strategy이 담고 있는 발견지향적, 시행착오적 견지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버젤만 교수(Robert A. Burgelman)는 그의 책 <전략은 운명이다(Strategy is destiny)>에서 인텔의 성공사례를 연구하면서, 후행적 전략의 중요성을 명백히 보여주기도 하였다. 

헨리 체스브루 교수(Henry Chesbrough)는 그의 책 오픈 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에서 체스게임과 포커게임의 비유를 들어 잘 짜여진 계획중심의 전략과 미지의 시장에 대한 시행착오와 빠른 유연성을 바탕으로 하는 발견지향의 전략의 차이를 설명하고 있다.

Posted by 200LXer
: